목표
발전소 취수구 환경에 적합한 뻘 제거 로봇의 개발
음향 기반 고탁도 환경 인식 및 지도 생성 기술개발
뻘 제거 로봇의 지상 원격 관제 기술 개발
연구개발의 필요성
원전 취수구 뻘 제거 작업의 위험성과 자동화 기술 도입 필요성
원전은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하여 원자로를 냉각하고 있으나, 해수 흡입 시 취수구를 통해 뻘이 유입되어 냉각 계통 기기 마모 및 복수기 전열관 표면에 침착이 발생하여 발전 효율 저하가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인 뻘 제거 작업을 수행함
인력에 기반한 뻘 제거 작업은 취수구 내 대형 펌프 작동으로 인한 고위험성 상시 존재하고 있으며, 뻘 제거 작업을 하는 잠수부의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으므로, 인력 기반 뻘 제거 작업에 한계가 있음. 또한, 뻘 제거 작업을 위해 펌프 가동을 멈추고 물을 빼내는 등의 조치로 인한 발전 효율 저하 발생
발전소 취수구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뻘 제거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는 뻘 제거 로봇 시스템 개발 필요
기대효과
로봇을 활용한 뻘 제거 작업 자동화로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작업 효율성 대폭 개선 기대
원격 관제 및 실시간 데이터 수집 기술을 통해 뻘 퇴적량 및 분포 등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여 유지보수 및 운영계획 수립에 활용 가능
자동화된 로봇 시스템을 활용하여 뻘 제거 작업 중 냉각수 흐름의 중단 없이 안정적인 원전 운영 가능
음향 기반 센서를 통해 고탁도 환경에서도 정밀한 위치 추정과 정확한 지도 생성 가능하여 효율적인 작업 수행 환경 구축
현장 적용 및 실증 효과
실제 원전 취수구 환경에서 로봇의 주행성능과 뻘 포집 성능을 실증함으로써, 현장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 개발 추진 중
향후 로봇 시스템의 도입으로 원전 시설 운영 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성 향상 기대
국내 기술개발 현황
수중 준설/청소 로봇 (한국로봇융합연구원)
한한국로봇융합연구원은 다양한 수중환경에서 준설 및 청소 작업이 가능한 다수의 로봇 시스템 개발 이력 및 경험을 보유